질병매개 곤충 및 독성 곤충 방역
< 기존 방역 시스템의 문제점 개선 >
살충제나 소독제를 물에 희석해서 분무기로 분사하는 방식은 날아다니는 곤충(모기, 나방, 파리 등)에 직접 접촉시키기 어려워 효과가 떨어지고, 경유를 사용하는 연막방역은 경유 자체의 유해성분으로 인해 환경과 인체에 해롭고 약제를 태워서(over-burning) 분출시켜 효과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습니다.
바이오 연막방역은 사용하는 약제를 잘 보존하여 연기에 실려 내보내는 원리여서 구석구석에 침투하여 살충력 및 소독력을 발휘하므로 방역효과가 매우 뛰어납니다.
< 모기 매개 질병 대응 >
모기가 매개하는 질병은 말라리아, 뎅기열, 활열병, 지카바이러스, 일본뇌염 등 다양하고, 성충 암컨모기 1마리가 1회에 150~200여개의 알을 낳고 생애동안에 4~5회 산란을 한다. 모기에 대한 방역은 유충 보다 성충의 개체수 감소를 목표로 해야 합니다.
< 독성 곤충 제거 >
모기 외에도 살인진드기(작은소참진드기)불개미, 지네, 거미, 화상벌레(청딱지개미반날개) 등 독성을 지닌 곤충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이로인한 피해를 줄여줍니다.
< 코로나19 등 각종 바이러스 살균소독 >
코로나19 바이러스의 소독과 식중독 유발균과 병원균 등 각종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활동에 바이오 연막방역시스템을 활용하여 접촉이 어려운 공간과 물체에 까지 소독효과를 발휘합니다.
건축물 내외부 방역
상가, 사무실, 호텔, 음식점, 주택, 관공서, 공항청사 등 다양한 건축물의 실내외 방역을 통해 해충의 유입을 방지하고 코로나19 등 각종 바이러스의 살균소독을 실시합니다.
공장 내외부 방역
일반 제조 공장, 창고, 식품공장, 포장공장 등 산업시설에 대한 실내외 방역을 통해 해충의 유입을 방지하고 거미줄 등이 생기지 않도록 청결한 위생환경을 만들어 줍니다.
리조트 시설 방역
캠핑장, 글램핑장, 펜션, 콘도, 리조트 등 숙박시설의 실내외 방역을 통해 해충 없는 쾌적한 환경을 이용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.
악취시설물 탈취 작업
축사, 악취산업시설, 하수처리장, 쓰레기집하장, 퇴비제조시설 등 각종 악취 발생 시설물에 대하여 탈취제를 연막제와 섞어서 살포하여 주변 지역으로 악취가 이동하지 않도록 합니다.